IT

하드디스크 원리는 어떻게 되나?

정보기반의검색 2023. 5. 18.

 

하드디스크 원리는 어떻게 되나?

 

하드디스크는 컴퓨터의 보조 기억 장치로, 비휘발성이고 순차접근이 가능한 자기 기록 매체이다. 하드디스크는 플래터라는 원반 형태의 자성체에 자기 패턴으로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하드디스크의 구조와 원리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 하드디스크의 구조 하드디스크는 다음과 같은 주요 부품으로 구성된다.

 

- 제어회로: 하드디스크를 제어하고 버퍼 메모리를 관리한다. S.M.A.R.T. 기술을 통해 자가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 스핀들 모터: 플래터의 회전을 담당한다. 브러시리스 모터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회전시킨다. 동압 유체 베어링을 사용하여 마모와 소음을 줄인다.

- 플래터: 데이터가 기록되는 부분이다. 금속 재질로 반사가 잘 되고 산화철 등의 자성체로 코팅되어 있다. 하나의 하드디스크에는 한 개 이상의 플래터가 장착된다.

- 액추에이터: 헤드가 원하는 데이터를 읽을 수 있게 제어회로의 명령에 따라 액추에이터 암을 구동하는 역할을 한다. 네오디뮴 자석과 강자성체 재질로 된 자석 덮개가 있다.

- 헤드: 플래터 위의 자기장의 밀도 변화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읽고 쓰는 역할을 한다. 헤드암에 연결되어 있으며, 플래터와 아주 가까운 거리에서 부상한다.

 

하드디스크의 원리 하드디스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데이터를 읽고 쓴다.

 

1. 마더보드에서 전원이 공급된다.

2. 제어회로에서 전원이 정상인지 확인하고, 스핀들 모터에 시작 명령을 내린다.

3. 스핀들 모터가 플래터를 고속으로 회전시키고, 정상 속도에 도달하면 제어회로에 신호를 보낸다.

4. 액추에이터가 헤드를 0번 트랙으로 옮기고, 파일 할당 테이블 (FAT) 등의 필요한 데이터를 가져온다.

5. 제어회로에서 읽기 또는 쓰기 명령을 받으면, 액추에이터가 헤드를 원하는 트랙으로 이동시킨다.

6. 헤드가 트랙 위에서 데이터를 찾아서 읽거나 쓴다. 데이터는 자기장의 극성 변화로 0과 1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7. 읽거나 쓴 데이터는 버퍼 메모리를 거쳐 마더보드와 통신한다.

 

결론 하드디스크는 자기 기록 매체로, 플래터와 헤드, 스핀들 모터, 액추에이터, 제어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하드디스크는 자기장의 밀도 변화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으며, 전원 공급과 회전 속도, 트랙 위치 등을 제어한다.

댓글

💲 추천 글